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계란에 산란일자 표기 문제 있다”

채란 계란

by 해답은 있다 2010. 6. 8. 17:54

본문

“계란에 산란일자 표기 문제 있다”

양계협·계란유통협, 반대 입장 표명

김재민 기자, jmkim@chukkyung.co.kr

등록일: 2010-06-04 오전 10:24:40

내년 본격 시행될 계란제품위생관리 종합대책이 정부와 업계 간 이견으로 시행에 진통이 예상된다.
가장 큰 쟁점은 난각에 산란일을 표기하는 것으로 대한양계협회와 한국계란유통협회 양측 모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계란표면에 산란일 표기를 반대하는 이유는 과연 잘 지켜지겠냐는 현실론 때문이다.
신선도가 생명인 계란이 유통구조가 미비한데다 냉장유통체계 등이 마련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생산일자를 공개한다는 것은 자칫 소비자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이다.
다른 축산물의 경우도 포장육의 경우 포장일자를 표기하기는 하지만 도축일자를 표기하는 경우는 없고 우유도 최근 서울우유가 제조일자를 표기하기는 하지만 원유의 착유일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
냉장육의 경우 대체로 유통기한을 14일 내외로 우유도 14일 이내로 설정돼 있는데 대부분 구입 즉시 소비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는 것과 달리 계란의 경우 20일 이내가 적정 유통기한인데다 냉장고 등에 장기 저장해 놓고 소비하는 경우가 많아 산란일자를 공개하면 신선한 것만을 고집하는 우리 소비자들의 특성상 재고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업계의 주장이다.
특히 산란일자 표기 주체도 논란이다. 만약 산란일자를 표기할 경우 생산자가 표기해야 하지만 정부는 GP센터나 GP를 거치지 않는 경우 계란유통상인이 이를 표기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농장단위 장기 저장란의 경우 산란일을 고의로 숨길 여지가 남아 있고 계란상인도 재고가 있을 경우 산란일 조작 등의 유혹에 빠질 수 있어 종사자들을 범법자로 만드는 제도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이에 대해 계란유통협회는 계란유통상인 등록제와 함께 포장의무화로 유통경로가 명확히 드러나는 만큼 계란에 산란일자보다는 농장명이나 고유농장코드를 새기도록 해 문제가 되는 계란의 책임소재를 분명히 가린다면 산란일자 표기 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고 있다.
대한양계협회도 계란의 생산일자 표기를 포함해 이번 대책이 인프라 구축 없이 졸속으로 시행되는 면이 많다며 시행시기를 연기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정리하고 이번 정부 안은 계란유통의 10%도 안 되는 일부 대기업 유통계란만 지킬 수 있는 대책이라고 평가했다.
정부는 주기적으로 계란의 안전성 문제가 언론의 도마 위에 오르고 있는 상황을 감안할 때 현재로선 생산일자 표기보다 확실한 대책은 없다고 밝히고 있어 정부와 생산자간의 이견이 어떤 수준에서 조정될지 채란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