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업계, 계란 신뢰도 하락…후폭풍 우려
"계란 안전 제도적 장치 부재" 문제 지적
부화가 중지된 무정종란이 액란 등으로 가공되어 대규모 유통된 사실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계란의 신뢰가 심각하게 훼손되는 큰 파장을 낳고 있다.
특히 이번 무정종란의 불법 가공 및 유통논란에는 국내 대표적 계란유통 경영체가 포함됐고 국내 계란가공 시설이 가내수공업 수준의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부정계란의 유통은 광범위하게 진행 됐을 가능성 또한 높아 사태가 확산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대한양계협회와 계란유통협회 등 계란관련 단체들은 이번 사태로 인해 계란소비가 급감하지 않을지 우려를 표하고 있으며 최근 창립총회를 갖고 출범한 계란유통연구회도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고려 무정종란의 시장유통을 차단한 방법을 강구해 농식품부에 건의키로 했다.
한편, 무정종란의 불법 유통 사태는 관련업계 관계자들의 도덕적 해이뿐만 아니라 제도의 허점도 한몫 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한결 같은 주장이다.
국내 액란은 비살균액란과 살균액란으로 구분되어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비살균액란의 경우 제빵업계가 주로 이용을 하고 살균액란의 경우 제과업계가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일반세균수, 대장균, 살모렐라 등 주요 위험 요소에 대한 기준이 마련돼 있는 살균액란과 달리 비살균액란의 경우 유통온도(5℃ 이하) 이외에는 어떠한 기준도 설정되어 있지 않아 이와 같은 사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비살균액란의 유통기준 설정이 시급하다는 이야기다.
액란뿐만 아니라 국내 계란유통과 관련된 규제가 전무한 것도 이번 사태를 키웠다.
일반식란의 경우도 유통온도조차 설정되어 있지 않고 파란․오란과 관련된 처리 기준조차 세워져 있지 않는 등 계란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요소 제어를 위한 기본적인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투명하지 못한 계란유통시장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유제품과 육류의 경우 도축 및 유가공 공정 중 각종 검사를 통해 유해 축산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있지만 계란은 거래방식이 다양하다보니 안전성 검사 의무화가 사실상 어렵고 더군다나 어떤 경로를 통해 어떻게 유통되는지 얼마나 생산돼 소비자에게 얼마나 전달됐는지 조차 알 수 없는 상황이어서 계란 사고가 어떻게 발생할지 예측조차 어려운 것이 국내 계란유통시장의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는 계란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계란의 세척과 포장이 이뤄지는 GP센터의 HACCP 도입 및 적용 의무화 등을 추진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GP센터에 대한 HACCP 도입은 뒤로 밀어 둔 채 계란안전성 확보에 실요성이 떨어지는 농장단위 HACCP 기준을 마련 먼저 추진하는 등 앞뒤가 맞지 않는 행정을 펼치고 있다.
이와 관련 계란유통업계 관계자들은 계란의 신뢰도 회복을 위해서라도 계란유통과 관련된 정부차원의 적절한 규제와 감독이 필요하다며 기본적으로 계란의 위해요소를 적절히 제어 할 수 있는 투명한 유통경로 마련 등 시장의 선진화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조명&진단|계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나 (0) | 2009.12.11 |
---|---|
|조명&진단|계란유통구조 개선, 어떻게 해야하나(1) (0) | 2009.12.04 |
계란 GP통해 거래되도록 시장 구조개선해야 (0) | 2009.11.13 |
계란유통기한 표기 필요하다 (0) | 2009.08.14 |
계란 품질 저하 전근대적 유통구조가 ‘주범’ (0) | 2009.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