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계육협회가 닭고기 부분 유일한 생산자 단체(?)
육계부분 계육협회 단일 생산자단체 인정 요구
양계협, ‘갑’이 ‘을’ 대변은 허구 주장으로 맞받아
김재민 기자,zm9419@gmail.com
서성배 한국계육협회장은 정부 측에 육계산업 관련 정책이나 제도 결정시 계육협회와 협의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지난 12일 개최된 양계관련 전문기자 간담회에서 밝혔다.
서상배 회장은 “계육협회가 육계관련산업을 총괄하는 위치임을 강조하면서, 육계계열화사업체는 물론이고 이미 1000여명 이상의 육계사육농가가 회원으로 가입해 명실상부한 생산자 조직으로 거듭났다”며 “계육협회는 농가와 계열화사업체 간에는 충분한 대화와 소통이 이뤄질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 산업 발전을 위한 대안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서성배 회장은 “닭의 종류도 다르고 산업자체가 완전히 다른 육계와 산란계가 양계산업이라는 미명아래 한데 묶어 정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도 문제가 있다”고 밝히고 “전문성이 결여된 양계정책은 이미 급변하는 시장 상황을 감안해 과감히 탈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성배 회장은 “시장개방화에 맞춰 품목별로 전문화가 이루어져도 아쉬울 판에 현 체제로는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 나가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하고 “육계농가와 닭고기 관련 계열업체는 계육협회 중심으로 단일화 하고 이에 걸 맞는 정책개발이 이루어져야 육계산업이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내용이 언론을 통해 공개되자 대한양계협회(회장 이준동)는 지난 15일 ‘계육협회의 생산자 단체 자칭을 바로잡을 때’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하고 반박에 나섰다.
양계협회는 “현재 육계계열화사업자와 육계계약사육농가는 계약서에 각각 ‘갑’과 ‘을’로 적시되어 있다”며 “‘갑’이 ‘을’의 권익을 대변하겠다는 발상을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성명에서 양계협회는 “생산자 단체라 자칭하는 계육협회와 계열주체들은 자조금관련 법의 허점을 교묘히 이용해 정부와 농가들이 육계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진행 중인 자조금사업 진행 자체를 가로 막고 있다”며 “정부도 이러한 단체와의 정책 협의는 당장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계육협회는 계육을 도축?가공하는 업체들의 모임이라며 생산자가 아닌 가공업체의 임무에 충실해야 한다”고 밝히고 “업계발전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가뜩이나 어려운 업계를 닭의 종류를 갈라 더욱 분열시키려는 행동과 농가를 앞세워 비뚤어진 계열화사업을 정당화하려는 술책도 중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