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란 계란
채란업계 ‘7월 위기설’ 현실화 절박
해답은 있다
2010. 7. 16. 17:22
채란농가들의 사육수수 늘리기 경쟁에 따른 계란의 잉여물량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수익성 악화로 농가들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본지 5월17일자 ‘그 많던 계란은 어디로 갔을까?’라는 제목의 분석기사에서 5월 계란가격 추가 하락 등 공급과잉에
따른 위기가 대규모 환우로 7월로 연기됐다고 보도 한바 있다.  위기상황이 7월로 이월됐음에도 그 기간 채란업계는 일시적 난가 상승에
도취되어 있었을 뿐 사육수수줄이기 등 수급조절에 나서지 않아 예고됐던 7월 공급과잉에 따란 계란가격의 추가 하락으로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7월 위기설은 5월 환우계군의 생산가담 6월까지 삼계탕용 종란 생산에 전념했던 농장의 식란 출하가 시작되고 7월 방학 등 비수기가
겹치는 트리플 악재로 생산량은 더욱 늘어나고 소비는 줄어들어 위기가 더욱 커질 것이라는 것이다. 더욱이 6월부터 액란가공업체들이 지금까지
원료로 사용하던 오·파란을 사용하지 않고 정상란을 원란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전체 계란 생산의 10~15%에 이르는 오·파란의 유통이 전면
중지되고 정상란이 액란 등 가공용으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계란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현재 공급물량이 어느 수준에 와 있다는 것을 감안할
수 있다. 채란업계는 사육수수 감축에 대해서는 모두 공감하고 있지만 사육수수 감축 후 난가 상승 기대심리가 너무 높아 무임승차자가 많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구체적 실행방안을 내 놓지 못하고 있다. 지난 5일 개최된 대한양계협회 채란분과위원회(위원장 안영기) 월례회의에서도
이 같은 위기감에 따른 대책이 장시간 논의됐음에도 손에 잡힐 만한 뚜렷한 대안은 도출하지 못한 채 끝났다. 채란분과 위원들은 사육수수 감축
등을 결의하더라도 의무자조금 사업에 적극 동참하고 있는 400여 농장만이 이번 사업에 참여할 것이라며 결국 생산 감축에 협조하지 않은 1000여
농가들이 난가 상승 혜택을 크게 보고 일부 농가는 사육수수를 늘릴 수도 있어 협회차원의 수급조절 결의는 결국 실효성이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이날 채란분과위원들은 사육수수 감축, 신계군 입식자제, 신규농가진입 억제 등을 지부별로 실시하고 농가들의 동의서를 받기로
결의하는 수준으로 수급조절 대책을 마무리 지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