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란 계란

|조명&진단|계란유통구조 개선, 어떻게 해야하나(1)

해답은 있다 2009. 12. 4. 10:01

냉장유통 대세 속 계란만 상온 유통

저온 유통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비용 확보 큰 과제  

계란유통상인 규모화·거래양성화도 절실히 요구돼

 

  

 [글 싣는 순서]

 

  □ 냉장유통 대세 속 계란만 상온 유통
  □ 계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나
  □ 계란은 채소? 안전성 검사 의무화해야
  □ 계란의 현 유통구조 방치 더 이상은 곤란  

 

 

 1984년 서울우유가 콜드체인시스템을 유제품 유통에 적용 실용화 하자 소비자들은 생소한 용어에 의아해 했다.
콜드체인시스템은 농축산물이 주산지로부터 가정의 부엌에까지 저온을 유지하여 신선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송달하는 방법을 말하는데 이렇게 생소했던 콜드체인시스템이란 용어가 현재는 주요 농축산물의 가장 기본적인 운송방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낙농부분은 서울우유가 1984년 1월 콜드체인시스템을 도입한 이래 모든 유가공업체 및 집유조합들이 냉장유통을 잇따라 도입했으며 냉동 유통이 대세였던 육류도 구 축협중앙회의 냉장유통 노력이 결실을 맺어 2000년대 들어 선호부위의 경우 냉장유통은 완전히 자리 잡은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aT가 출범을 준비 중인 농수축산물 B2B사이버 거래소가 거래되는 모든 농축산물의 콜드체인시스템 도입을 천명하면서 청과나 계란 등 지금까지 상온유통이 대세였던 품목까지 콜드체인 시스템이 도입될 예정이다.
특히 저온유통의 필요성이 주기적으로 제기되어온 계란의 경우 이번 B2B사이버 거래 참여를 통해 선도에서 좀 더 유리한 저온유통계란의 존재가 소비자들에게 알려질 경우 다른 축산물에서와 마찬가지로 저온유통이 대세가 될 것으로 보여 진다.
여기에 농협중앙회가 회원축협들과 함께 출범시키는 안심계란도 저온유통을 천명하고 있어 향후 계란유통도 다른 축산물과 같이 저온유통이 일반화 될 날도 머지않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밋빛 전망도 현재 국내 채란업계와 계란유통업계가 저온유통을 할 수 있는 인프라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어 얼마나 빨리 도입돼 정착될지는 미지수다.
육류의 경우 생축을 도축장까지 이송하기 때문에 농장단위에서 냉장을 위한 시설이나 비용발생이 없지만 계란은 우유와 비슷한 면이 많아 농장에서 생산된 직후부터 저온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비용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여 진다.
유가공업계의 경우 콜드체인시스템 도입 초기 유가공조합이나 유업체들이 농가들에게 냉각보조금을 지급하면서 콜드체인시스템 완성을 위한 투자를 지속했지만 채란업계의 경우 계열화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보니 저온유통시스템의 완성을 위한 주체가 없고 만약 의무화 될 경우 농가부담 부분은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낙농유가공업계는 원유위생등급제 시행을 하면서 별도의 보조금이 없이도 위생수준 유지를 통한 인센티브를 받기 위해 농가들이 자발적으로 냉각기를 구입해 가동하고 있으나 계란의 경우 그러한 당근도 없어 업계 관계자들이 당위성은 알고 있으나 선뜻 이를 실천에 옮기는 것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 계란과 관련된 언론의 부정적 보도가 줄을 잇고 있고 실제로 계란의 유통부분의 열악성으로 인해 사고위험이 상존해 있는 상황에서 계란의 저온유통을 마냥 미룰 수많은 없는 상황이다.
농장단위부터 발생되는 투자와 저온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의 소비자 전가문제도 고민해야 할 상황이다. 수급에 따라 가격 변동이 극심한 계란의 특성상 가격 지지를 위한 안전장치가 마련돼야 하고 여기에 운송 중 저온유지를 위해서는 영세한데다 난립까지 되어 있는 계란유통상인들을 규모화하고 양성화 하기 위한 제도 마련까지 계란의 저온유통을 위해 풀어야 할 과제는 너무나 많은 상황이다.
김재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