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고기 가격이 설 이후 생산비 이하로 폭락하자 대한양돈협회는 할당관세 적용 등을 통해 무분별하게 돼지고기 수입을 유도한 정부 정책 때문에 양돈농가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며 가격 하락에 따른 손실분을 정부가 보전해 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설 연휴 직후인 26일 돈가는 연초대비 35%나 폭락한 3820원을 기록하는 등 생산비 수준인 4800원에도 한참 미치지 못하는 가격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이 같이 돈가가 폭락한데는 돼지고기 하반기 성수기인 지난해 김장철 일시적으로 돼지고기 가격이 오르자 정부가 할당관세를 적용해 돼지고기 수입을 추진하면서 이 같은 일이 벌어졌다.양돈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해 할당관세를 적용해 들여온 돈육이 물류창고에 많이 쌓여 있어 수입이 어렵자, 지난해 쿼터를 배분받은 수입업자 중 판매 실적이 있는 업체에 한해 올 1/4분기 할당관세 적용 쿼터를 배분키로 함에 따라 수입업자들이 기존 보유물량을 덤핑으로 시장에 풀면서 나타났다고 밝혔다.수입업자들은 어차피 할당관세를 적용해 추가로 돈육을 확보할 수 있는 마당에 물류비를 물어가며 돈육을 보관하고 있을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고 앞 다퉈 시장에 수입돈육을 풀어내면서 국내산 돈가 하락을 부추긴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이에 대해 대한양돈협회(회장 이병모)는 지난 31일 긴급 성명을 발표하고 무차별적인 돈육 수입으로 돼지값을 폭락시킨 정부가 돈가 하락분을 보전해야 할 것이라며 손실보전 대책을 당장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양돈협회는 정부의 시장개입으로 농가의 생존권마저 위협하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며 FMD 피해가 복구되는 하반기 출하물량이 증가하면 돼지 값은 더욱 폭락할 수밖에 없어 당장 수입돈육 7만톤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 계획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또한 정부의 물가안정 목표 가격 상한선 설정과 같이 돼지값 생산비 하한선을 설정해 생산비 이하로 하락시 정부가 양돈농가 손실을 보전해 주는 정책도 시행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