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 질병·생리 통합 연구 필요하다 질병연구는 수과원, 가축생리연구는 농진청으로 이원화 비효율 김재민 기자 zm9419@gmail.com식물, 축산, 수산분야의 검역 검사 기관의 통합이 추진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국립수의과학검역원내 수의연구 분야를 국립축산과학원에 편입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현재 경종농업부분의 재배기술과 육종 및 품종, 환경 연구와 함께 질병관련 연구를 농촌진흥청에서 도맡아 하고 있는 것과 달리 현재 축산부분의 경우 사양, 번식, 육종, 환경 등 가축생리와 연관된 부분은 농촌진흥청 산하 국립축산과학원이, 가축질병연구는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 맡고 있다.
가축의 질병이 사양이나 환경과 연관되어 있어 일원화가 필요하지만 이원화되면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몇 년 전 양돈장 생산성 악화의 주범으로 인식됐던 소모성질병의 경우도 양 기관이 해결점을 내 놓지 못하다 결국 농진청에서 양 기관 전문가가 모두 참여하는 TF를 구성하고 해결책을 내 놓는 등 공동연구의 필요성을 깨닫게 하는 기회가 됐다.
특히 수의과학검역원의 조직과 인프라가 가축질병연구 분야보다 국경 검역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연구에 핵심이 되어야 하는 실험동물이나 농장조차 보유하지 못하고 있어 질병분야 연구부분이 농진청이 수행하고 있는 가축 사양, 번식, 환경, 육종과 관련된 연구에 비해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여기에 농촌진흥청이 광역시도 농업기술원과 시군농업기술센터 면단위 지도소로 이뤄지는 농업지도 기관과의 네트워크가 잘 이뤄져 있는데 반해 수의과학검역원은 질병판단 업무 이외에 대부분을 지자체에 맡기고 있어 자치단체장의 관심도에 따라 방역업무가 뒤로 밀리기 일쑤다.
특히 구제역, 고병원성AI 이외에 이른바 소모성질병의 경우 제대로 된 경보체계마저 갖춰져 있지 않아 농가들이 피해를 많이 입은 이후에나 대책이 나오는 실정이다.
특히 새롭게 출범하는 통합검역기관은 농수축산물 모두를 관장하기 때문에 현재도 왜소한 질병관련 업무가 더 위축될 수도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번 검역기관 통합 과정에서 질병연구 즉 수의분야를 농촌진흥청에 이관해 축산연구와 연계가 가능토록 하고 질병예찰 업무를 농촌진흥청과 시도농업기술원과 농업기술센터에 맡김으로써 신속한 보고 그리고 판단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