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사료용 항생제 사용 금지 사전대비책 발표(농식품부 보도자료)

카테고리 없음

by 해답은 있다 2010. 4. 10. 10:02

본문

 

사료용 항생제 없이 축산 가능합니다

- 2011년 하반기 사료첨가용 항생제 전면금지 사전대비

- 무항생제 농가사례 발굴, 대체물질 개발, 효능검정 및 사용매뉴얼 보급

 

농림수산식품부는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 신뢰 제고를 위해 2011년 하반기부터 사료에 항생제 첨가금지를 추진함에 따라  농가와 관련 업체의 혼란과 피해를 최소화하고, 제도의 안정적 도입을 위해 교육·홍보 강화, 우수사례 전파 등 다양한 대책을 선제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 사료첨가용 항생제 : (종전) 44종 → ('05.5) 16 → ('09.1) 9 → ('11.7) 0

먼저 농가, 사료업체, 지자체 공무원 등에 대한 교육 및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 사료업체, 시·도(시·군)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사료품질 및 안전성 교육을 실시하고, 사료공장 CEO 및 품질관리부장에 대해  HACCP 교육을 강화하며, 사료검정 및 검정인정기관 분석요원의 사료검정능력 향상을 위한 사료검정방법 등 교육을 실시한다.

농가를 대상으로 농협중앙회, 양돈협회 등 생산자 단체를 통해 사료첨가용 항생제 전부감축 관련 사전대응 방법 등을 집중 교육할 계획이다.

☐ 또한, 무항생제 우수농가 사례를 발굴하여 사례집을 제작·보급하는 한편, 사료첨가용 항생제 대체물질 개발과 효능검정을 실시하고, 농가에게 사용매뉴얼을 만들어 보급계획이다.

무항생제 사료급여 우수농가는 지자체의 추천을 받아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의 심사 및 평가를 거쳐 오는 5월 말경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 또한, 무항생제 사료생산 업체에 대하여 사료원료구매자금 및 사료제조시설 등 정책자금 지원시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사료공장 HACCP 지정 및 정기심사 때에도 프로그램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농식품부는 밝혔다.

한편, 사료첨가용 항생제가 전부 금지되더라도 치료용 항생제 사용은 가능하다.



< 참고자료 >

사료내 혼합 가능한 동물용의약품 감축 계획



2008.12.31

2009.1.1

2011.7.1

분류

품   목   명

분류

품   목   명

분류

품   목   명

항생제

(15종)

클로르테트라싸이클린

항생제

(8종)

<삭 제>

항생제

(0)

 

옥시테트라싸이클린4급암모늄

<삭 제>

 

바시트라신아연

<삭 제>

 

엔라마이신

엔라마이신

<삭 제>

타이로신

타이로신

<삭 제>

황산콜리스틴

<삭 제>

 

황산네오마이신

<삭 제>

 

버지니아마이신

버지니아마이신

<삭 제>

염산린코마이신

<삭 제>

 

바시트라신메칠렌디살리실레이트

바시트라신메칠렌디살리실레이트

<삭 제>

밤버마이신

밤버마이신

<삭 제>

티아무린

티아무린

<삭 제>

페니실린

<삭 제>

 

아프라마이신

아프라마이신

<삭 제>

아빌라마이신

아빌라마이신

<삭 제>

항균제(1종)

설파치아졸

항균제(1종)

설파치아졸

항균제(0)

<삭 제>

항콕시듐제

(8종)

살리노마이신

항콕시듐제

(8종)

살리노마이신

항콕시듐제

(8종)

살리노마이신

모넨신나트륨

모넨신나트륨

모넨신나트륨

라살로시드나트륨

라살로시드나트륨

라살로시드나트륨

나라신

나라신

나라신

마두라마이신암모늄

마두라마이신암모늄

마두라마이신암모늄

샘두라마이신

샘두라마이신

샘두라마이신

크로피톨

크로피톨

크로피톨

디클라주릴

디클라주릴

디클라주릴

구충제(1종)

펜벤다졸

구충제(1종)

펜벤다졸

구충제(1종)

펜벤다졸

25종

18종

9종

※ 분류사항

- 항콕시듐제 : 콕시듐증 예방 및 치료제

- 항생제 :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화학물질로 세균의 성장억제 및 사멸시키는 제제(천연항생제의 유도체인 반합성 항생제 포함)

- 항균제 : 화학적으로 합성된 물질로 세균의 성장억제 및 사멸시키는 제제

- 구충제 : 내․외부 기생충 구제제